목록Network (4)
Perd's Story

yum -y install telnet-server systemctl start telnetd / telnet.socket ->start 옵션은 일회성이라 리부트하면 다시 사용 불가능하다 => start 대신에 enable / disable 사용하면 서비스 활성/비활성화 할 수 있다. -> 텔넷 설치 및 활성화 했는데 오류나서 rm -rf /var/run/yum.pid 명령어를 사용하여 지우고 재설치를 하였다. 그 후 방화벽 설정에서 telnet을 허용 그리고 ifconfig로 ip주소를 알아본다. 이렇게 PuTTY에 IP와 포트번호, 타입을 설정한 후에 접속한다. 접속 완료!

Static은 모르는 곳에서 패킷이 왔을 때 어디로 가라 지정하는 것 Dynamic은 내 정보는 뭐고 너는 어떤거니 하면서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것 R1(config)#route rip R1(config-router)#network 192.168.1.0 R1(config-router)#network 192.168.2.0 R1(config-router)#network 10.0.0.0 R1(config-router)#version 2 R1(config-router)#no auto-summary => 클래스리스를 클래스풀하게 묶어 버린다? R2(config)#route rip R2(config-router)#network 192.168.3.0 R2(config-router)#network 192.168.4...

2계층 루프 막기 위해 나온 것이 STP다. 업링크가 하나 밖에 없으니 부하현상이 일어났다. → 확장을 해야함, 그러나 비용이 너무 많이 듬;; (업링크 개수를 늘려도 하나 밖에 작동하지 않음) 나온 이유 : 위에서 여러개의 업링크를 하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이 사진에서 f0/2가 막힌 이유 : 포트 번호가 커서 S1(config)#int r g0/1-2 S1(config-if-range)#channel-group 1 mode active Creating a port-channel interface Port-channel 1 => 이 그룹에 매칭되는 가상 포트가 하나 생겼다 라는 뜻 S1(config)#int port-channel 1 S1(config-if)#switchport mode t..

nat가 나온 이유 : ipv4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-> ip를 중복해서 사용가능하게 한다. 그러나 중복 사용을 하면 ip의 고유성이 사라져서 라우팅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나온 것이 nat다! 퍼블릭 ip를 사설 ip로 바꾸어주는 것 inside local을 inside global로 바뀌는 것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92.168.1.10 210.101.244.100 inside nat를 스태틱으로 줘서 앞의 주소를 뒤의 주소로 바꾸겠다. R1(config)#int g0/0 R1(config-if)#ip nat in -> 라우터로 들어오는 포트 R1(config-if)#int g0/1 R1(config-if)#ip nat out -> 라우터에서 나가는 포트 그래서 p..